목록전체 글 (164)
Pure Software Engineer :)
천명관 장편소설 [고래] 를 읽다보니, 우리말 인데도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아서, 사전을 검색하지 않으면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읽으면서 하나하나 정리해보고자 한다. 탁배기 막걸리’의 방언(경상, 제주, 황해). 기실 실제에 있어서. 이레 일곱 날. 반편[半偏] 지능이 보통 사람보다 아주 낮은 사람. References 다음 한국어 사전
천명관 장편소설 [고래] 를 읽다보니,우리말 인데도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아서, 사전을 검색하지 않으면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그래서 읽으면서 하나하나 정리해보고자 한다. 탁배기막걸리’의 방언(경상, 제주, 황해). 기실 실제에 있어서. 이레 일곱 날. 반편[半偏] 지능이 보통 사람보다 아주 낮은 사람. References다음 한국어 사전http://dic.daum.net/index.do?dic=kor
우분투 패키지 관리자 apt-get 명령어를 통해 node 를 설치했을시 최신버전이 아니라 old 버전이 설치된다. $ apt-get install nodejs // old 버전 node 설치 아무 생각없이 위의 명령으로 node 설치하고, express 설치하려했더니 버전이 안맞다는 에러가 나서 확인해 보니 최신버전이 아니었다. 최신 버전 node를 설치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배포판 : Ubuntu 12.04 $ apt-get install python-software-properties $ apt-add-repository ppa:chris-lea/node.js // 이 과정에서 계속 진행할건지 경고 문구가 나오는데 계속 진행하기 위해 ENTER $ apt-get update 위의 2번째 comm..
C++의 다형성(polymorphism)은 객체의 동작방식을 런타임(runtime)에 결정하도록 한다. 예를들어, Animal 클래스에 move() 함수가 있다면, 물고기는 헤엄, 강아지는 달리기, 새는 날아서 움직일 것이다. 이와 같은 실제 동물에 따른 행위가 컴파일시점에 결정하는것이 아니라 실행시간에 결정할 수 있다는것이 다형성의 개념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런타임때 두가지 이상의 타입에 따라 함수의 동작방식이 선택되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Animal 클래스에 어떤 동물이 다른 동물을 먹을수 있는지 반환하는 eats() 함수가 있다고 하자. 이때는 먹는동물과 먹히는 동물에 따라 eats의 결과가 달라져야 할 것이다. C++에서 언어차원에서 두개 이상의 타입을 런타임에 결정할수있는 방법을..
작년에 10월13일에 열렸던 대회가, 10월 중순이 되도록 대회공지가 안올라와서 올해는 안하려나 했는데...드디어 대회 공지가 떳다. 올해는 11월 2일.작년보다 늦게하지만, 실내 대회다보니 날씨는 걱정없을듯 하다. 작년에 친구랑 같이 했는데, 대회후 친구가 후유증이 좀있어서...참가할지 고민된다. 참가신청은 아래 위치에서...http://www.63.co.kr/home/63CITY/event/event/view.do?event_no=1018&pageNo=1&gb=A&ing=Y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bool 타입을 써야할 때가 종종 있다. 1바이트를 사용하고, 그 변수의 이름과 맞물려서 true/false를 잘 표현해낸다면 딱일 것이다. 최근 코드를 보다가 아래와 같은 코드를 본적이 있다. 1 2 3 4 5 //=========================================================================== void CStsRouteConn::OnRouteRegisterFinished (bool result) { ... ... } (주관적일지 모르겠지만)저기서 result를 사용하는것은 좋은 코드같아 보이지는 않는다. 함수 이름으로 봤을때 뭔가 하는 작업이 끝났을때 callback되는것 같고, result는 작업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나..
Refactoring - written by by Martin Fowler 프로그래머라면 반드시 읽어봐야 할 책중에 하나인 리팩토링에 관한 책. 리팩토링에 대한 개념부터 시작해서 코드예제까지 조금씩 읽으면서 정리를 해보자. 오늘은 그 시작!! 리팩토링이란? - 외부 동작을 바꾸지 않으면서 내부 구조를 개선하는 방법 -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변경하는 프로세스 - 버그가 끼어 들 가능성을 최소화 - 코드를 정리하는 정형화된 방법 그렇다면 리팩토링은 반대는? 퍼포먼스 최적화! 퍼포먼스 최적화란? - 리팩토링과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바꾸지는 않음 - 하지만, 리팩토링과 달리 종종 코드를 이해하기 더 어렵게 만듦 - 이것은 필요한 퍼포먼스를 얻기 위해서는 감수해내야 하는 것 리팩토링을 할때 두 가지 구별된..